2024/12/09 2

QR코드의 구성

중국에 잠깐 경유하며 여행을 했을때 느꼈던 놀랍고도 편리한 점 중하나는 QR코드가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대만 여행차 들렀기때문에 중국 돈은 한 푼도 없었지만 지하철도 타고, 가챠도 할 수 있었고 음식점, 편의점까지 휴대폰 하나만 딸랑들고 가능했다.  QR코드의 QR은 Quick Response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무려 1994년, 일본에서 개발되었는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건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다. QR코드의 구성 이 이미지가 QR코드의 구성요소를 가장 잘 설명해주고 있어서 들고왔다.  1. 경계 또는 마진 (Quiet Zone)QR코드의 원활한 인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여백이다. 2. 파인더 또는 위치 지정 패턴(Positioning Pattern/Marker)QR코드의 ..

RFID와 NFC

RFID (Radio Frequencey Identification)RFID는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전자태그라고도 불린다. 이 점은 바코드와 유사한데, 바코드와 다른점은 더 긴거리, 그리고 직접적인 접촉 없이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도 식별이 된다는 점이다.  RFID는 태그의 전원 유무에 따라 수동형, 혹은 능동형, 반수동형 3가지로 나누어진다. 수동형 태그(Passive Tag)태그 자체에 직접적인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고 판독기(Reader)의 동력만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형태다.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대적으로 인식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우리가 사용하는 교통카드가 바로 수동형 태그의 대표적인 예시다. 능동형 태그(Active Tag)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