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31 2

DOMContentLoaded와 jQuery document.ready()의 중요한 차이점

포스팅을 보다보면 javascript의 DOMContentLoaded와 jQuery의 ready()가 동일하다고 설명되어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동일한 시점에 Trigger되는 것은 맞지만 이들의 작동방식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document.addEventListeners('DOMContentLoaded', function () {}) $(document).ready(function () {}) DOM이 준비되어 조작해도 되는 상태가 되면, ready()나 DOMContentLoaded가 호출 된다. 하지만 DOMContentLoaded의 경우 addListener를 한 시점이 이미 이벤트가 일어난 시점(DOM이 준비되어버린)인 경우에는 호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ready()의 경우에는 이미 ..

Ngnix의 개념과 작동방식 정리 (feat. Apache)

Nginx의 등장 배경: Apache 의 문제점 Apache 웹 서버에 대해서 들어본적이 있는가? 아주 어렸을때부터 수차례...(게임에 관심이 많았던 건지) 아파치 톰캣 서버 어쩌고 저쩌고를 많이 본 기억이있다. Apache는 Nginx의 등장 전 까지 가장 널리 쓰이던 웹 서버다. 웹 서버는 World Wide Web에서 만들어진 클라이언트 요청을 서비스하기위해 HTTP나 그 이외의 프로토콜(HTTPS/SMTP/FTP...)을 사용하는 SW/HW다. 하드웨어로서의 웹 서버는 웹 서버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로서의 웹 서버는 앞서말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Apache, Nginx, IIS 등이 있다. 대부분은 웹 페이지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Nginx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