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 6

DOMContentLoaded와 jQuery document.ready()의 중요한 차이점

포스팅을 보다보면 javascript의 DOMContentLoaded와 jQuery의 ready()가 동일하다고 설명되어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동일한 시점에 Trigger되는 것은 맞지만 이들의 작동방식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document.addEventListeners('DOMContentLoaded', function () {}) $(document).ready(function () {}) DOM이 준비되어 조작해도 되는 상태가 되면, ready()나 DOMContentLoaded가 호출 된다. 하지만 DOMContentLoaded의 경우 addListener를 한 시점이 이미 이벤트가 일어난 시점(DOM이 준비되어버린)인 경우에는 호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ready()의 경우에는 이미 ..

Ngnix의 개념과 작동방식 정리 (feat. Apache)

Nginx의 등장 배경: Apache 의 문제점 Apache 웹 서버에 대해서 들어본적이 있는가? 아주 어렸을때부터 수차례...(게임에 관심이 많았던 건지) 아파치 톰캣 서버 어쩌고 저쩌고를 많이 본 기억이있다. Apache는 Nginx의 등장 전 까지 가장 널리 쓰이던 웹 서버다. 웹 서버는 World Wide Web에서 만들어진 클라이언트 요청을 서비스하기위해 HTTP나 그 이외의 프로토콜(HTTPS/SMTP/FTP...)을 사용하는 SW/HW다. 하드웨어로서의 웹 서버는 웹 서버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로서의 웹 서버는 앞서말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Apache, Nginx, IIS 등이 있다. 대부분은 웹 페이지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Nginx는..

[Okhttp3] Expected URL scheme 'http' or 'https' but no colon was found 해결방법

Fatal Exceptio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Expected URL scheme 'http' or 'https' but no colon was found okhttp3.HttpUrl$Builder.parse$okhttp (HttpUrl.java:1260) okhttp3.HttpUrl$Companion.get (HttpUrl.java:1633) okhttp3.Request$Builder.url (Request.java:184) okhttp3.Cache$Entry.response (Cache.java:641) okhttp3.Cache.get$okhttp (Cache.java:183) okhttp3.internal.cache.CacheInterceptor.int..

맥에서 ANSI 인코딩 txt 파일 읽는 간단한 해결법

Windows에서 ANSI 인코딩으로 저장된 메모장 txt 파일을 맥에서 읽어들이려하면 다음과 같은 문구가 뜨면서 열리지 않을 것이다. 문서 ~을(를) 열 수 없습니다. 유니코드 (UTF-8) 텍스트 인코딩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파일이 다른 텍스트 인코딩을 사용하여 저장되었거나, 텍스트 파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해결방법은...간단하다. 크롬 브라우저를 열어서 해당 txt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파일이 열린다. ㅋㅋㅋ 그대로 글자를 긁어서 저장하면 완성! Converter같은걸 찾고 있었는데...너무 어렵게 생각한듯 하다.

[마인크래프트] server.properties 속성 총 정리

server.properties 파일에 대한 간략 설명 server.properties는 마인크래프트 서버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파일이다. 메모장, VS code등 일반적인 텍스트 에디터로 수정가능하다.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등호 뒤의 내용을 바꿈으로서 값을 바꿀 수 있다. allow-flight=true를 allow-flight=false 이렇게 말이다. 또한 #으로 주석처리를 할 수 있어서 메모하거나 백업용으로 쓸 수 있다. 아래는 그 예시. #max-players=999 max-players=20 # 복돌체크를 끈다. online-mode=false 변경 후 적용방법 서버 실행중에도 변경가능하며, 서버 재시작 또는 /reload 명령어를 통해서 바뀐 내용을 적용 시킬 수 있다. 속성들 ..

[안드로이드] Koin에서 Hilt로, Hilt 배워보기

단지 쉽다는 이유만으로 Koi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최근 앱의 리팩토링 고민을 하면서, 다른 프로젝트 코드들을 읽어보다가 내가 Hilt에 대해서 너무 모르는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자료에 있는 Droid Knights 2020 영상에 따르면 상위 10,000개의 안드로이드 앱 중 74%가 Dagger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github에 올라온 많은 프로젝트들도 Dagger/Hilt를 사용하고있으니 이번기회에 확실히 짚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다. Koin의 특징 Koin은 확실히 쉽다. Hilt가 쉬워졌다고 하지만 Koin급은 아니다. 그리고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Stub 파일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빌드 시간이 빠르다. 하지만 런타임에 바이트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H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