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18 2

[안드로이드] 예제로 알아보는 바인드된 서비스 (Bound Service)

바인드된 서비스(Bound Service)는 서비스와 다른 안드로이드 컴포넌트들 (Activity, Fragment, Service)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같은 관계를 구현할 수 있어 IPC(프로세스간 통신)를 가능하게 한다. 이번에 이를 이용해서 구현할 예제는 앱의 설치상황을 관찰하는 서비스이다. 게임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구글 플레이가 실행되고 구글플레이 설치 진행 상황에 따라 버튼 상태가 바뀐다. Bind Service의 작동원리와 개념은 코드와 함께 보자! 서비스 만들기 설치 상태를 관찰 할 서비스는 InstallStateService이다. 먼저 Binder를 하나 만들어 주어야하는데, binder를 통해서 다른 앱 컴포넌트에서 이 서비스에 접근 할 수 있게 된다. class InstallSta..

[안드로이드] 패키지명(Package name)으로 앱 실행하기

패키지명을 받아서 앱을 띄워주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사용자의 휴대폰에 해당 앱이 깔려있다면 실행하고, 깔려있지 않고 Google Play는 이용할 수 있다면 구글 플레이의 앱 상세 페이지로, 만약에 그렇지도 않다면 구글 플레이 웹에서 앱 상세 페이지로 이동 시키는 함수입니다. /** * 패키지 네임을 가진 앱을 실행합니다. 없으면 구글 플레이로 이동합니다. * @param packageName 대상 앱의 패키지 네임 */ fun launch(context: Context, packageName: String?) { val launchIntent = context.packageManager.getLaunchIntentForPackage(packageName ?: "") if (launchIn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