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의 "지브리" 이미지 생성 열풍에 이어 Google의 나노 바나나가 피규어 만들기로 화제다.
나노 바나나는 Gemini 2.5 Flash Image의 이름인데, 구글의 최신 이미지 생성 모델이다. 이미지의 맥락, 빛과 그림자를 이해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데 탁월한 모습을 보이고있다.
나노 바나나로 피규어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은 LMArena에서 진행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있으나, LMArena는 서드파티 앱이기때문에 기본 설정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나노 바나나는 Google 제품이기 때문에 Google Ai Studio를 활용하면 훨씬 더 자유로운 설정을 할 수 있고, 대화편집도 가능해서 일관된 이미지 생성에 더 유리하다.
Google AI Studio
Google AI Studio에 들어온 뒤, "Try Nano Banana"를 눌러 Nano banana 모델을 바로 사용해볼 수 있다.
오른쪽 사이드바에서 Nano Banana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LMArena와는 다르게 모델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고, Safety Settings도 조절할 수 있다.
Temperature - 높은 값을 가질 수록 모델의 창의성, 다양성, 예측 불가능성이 높아진다. 모델이 명령을 더 준수하길바란다면 이 값을 낮추면된다.
Top P - 높은 값을 가질 수록 더 다양한 후보군에 그럴듯한 옵션들을 고려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게된다.
Safety Setting의 경우 Block none으로 설정하면 해로운 컨텐츠도 막지않는데, 아주 잔인한 묘사의 이미지를 요청했는데 막힌걸보니...이미지 모델 보다는 텍스트 모델에 적용되는 듯하다.
자, 그럼 나노 바나나로 어떻게 멋진 피규어를 만들 수 있는지보자.
Create a 1/7 scale commercialized figure of thecharacter in the illustration, in a realistic style and environment. Place the figure on a computer desk, using a circular transparent acrylic base without any text.On the computer screen, display the ZBrush modeling process of the figure. Next to the computer screen, place a BANDAI-style toy packaging box printed with the original artwork.
반다이 스타일 상자에 브래트 피트의 1/7 사이즈 피규어가 만들어졌다.
복잡한 영어 프롬프트만 될까? 한국어 프롬프트도 문제없다.
펀코팝 스타일 피규어를 만들어보자.
이렇게 만들어졌다.
구글에 따르면 실사형 장면의 경우 사진 용어와 카메라 각도, 렌즈 유형, 조명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라고 한다.(https://aimatters.co.kr/news-report/ai-news/30280/) 세련된 삽화 및 스티커 제작에서는 스타일을 명확히 하고 투명한 배경을 요청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I Studio를 사용하면 Delete 기능으로 대화를 편집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계속해서 대화하면서 AI가 엇나가는 현상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정말 원하던 아웃풋을 뽑아내고, 또 2번째 프롬프트로 아웃풋을 뽑아냈는데 완전히 이상한 결과라면 3번째 프롬프트도 이전의 결과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럴경우에는 대화 삭제로 잘못된 답변을 삭제해주면된다.
단순 피규어 제작 이외에도, 일관성 유지가 강력한 모델이기때문에, 사진의 색감 보정이나 옷 갈아입히기 등등 사진 편집 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게임 캐릭터를 이렇게 피규어 스타일로 만들어달라는 요청도 가능하다.
스튜디오 조명과 박스를 요청했더니 그럴듯하게 그려준다.
'프로그래밍 > AI,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LLM Tool을 만들다 식겁한 이야기 (1) | 2025.06.21 |
---|---|
LLM이 자연스러운 슬랙 메세지를 출력하게 하는 소소한 팁 (0) | 2025.06.21 |
Agent를 고도화하면서 겪은 문제점들 (0) | 2025.04.09 |
LangGraph Agent에 장기기억(LTM)추가하기 (0) | 2025.04.03 |
반쪽짜리 Contextual Retrieval로 RAG 강화 해보기 (0) | 2025.03.26 |